프랑스 옥외광고 협회는 KPMG 리서치 기관에 옥외 광고와 다른 매체들 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하는 연구 용역을 의뢰하였습니다.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CO2 배출량 측정에 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후 변화 대응의 핵심 문제로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저탄소 전략' (SNBC : Stratégie Nationale Bas Carbone)의 프랑스 중앙정부의 정책 의지를 반영하여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KPMG가 수행한 연구는 옥외광고, 텔레비전, 라디오, 인쇄물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들의 탄소 배출량을 분석하고 타 매체간 배출량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것입니다. 각 매체의 에너지 소비, 생산 과정 및 운영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을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각 광고 매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하게 됩니다. 취합된 온실 가스 배출량을 통하여 환경에 적은 영향을 끼치는 매체를 산정하고 많은 배출량을 기록한 미디어 분야의 경우 향후 보완 전략을 수립하는데에 일조하게 됩니다.
분석 결과는 실외 광고가 조사 대상전체 매체 유형 중에서 가장 적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텔레비전, 라디오 및 인쇄물과 비교했을 때에 조차 옥외 광고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탄소 배출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조사 배경 : UPE (프랑스 옥외광고 협회)와 KPMG의 협업을 통한 신뢰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하여 옥외 광고를 포함한 광고 산업 전반에 걸친 지속 가능한 업계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외 광고 (OOH 및 DOOH)는 프랑스의 CO2 배출량 중 미미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실외광고 분야의 CO2 배출량은 프랑스의 총 탄소 배출량의 0.01%를 차지하며, 정보 통신 기술 (인터넷, 텔레비전, 전화, 컴퓨터 등) 부문의 CO2 배출량의 0.44%과 비교했을때 역시 현저히 낮은 수치입니다. 다시말해서 실외 광고 분야의 탄소 배출량은 상기 언급된 유사 분야인 해당 정보 통신 기술 부문의 광고 활동의 CO2 배출량의 2.6%에서 3.6% 사이에 해당합니다.
해당 수치만을 미루어보아도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옥외 광고분야는 온실 가스 배출에 상대적으로 매우 미미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실외 광고로 인한 CO2 배출량은 텔레비전,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은 다른 매체로 인한 배출량보다 훨씬 적습니다.
이는 옥외광고의 물리적인 특성중 하나인 ‘부동성‘ (번역주 : 광고판이 설치된 이상 추가 움직임이 소요되지 않는 다는 점. 옥외 광고의 분야에는 동력체와 결합된 광고 방식도 존재하지만, 해당 연구의 경우 일반적인 야립광고의 형태가 옥외 광고 산업 분야의 일반적이라고 전제하고 있음)에 따라 다른 매체에 비해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투자자들의 결정 과정에서 또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옥외 광고 방식에 대한 투자는 연구 결과를 미루어 봤을때 타 분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기여한다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으며, 옥외 광고는 CO2 배출량이 높은 일부 다른 매체에 비해 더욱 환경 친화적이고 기후를 존중하는 대안을 제공한다는 이미지 또한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과값
- 라디오 광고에 비해 CO2 배출량이 2.0배에서 3.4배 낮음.
- 인터넷 광고에 비해 CO2 배출량이 3.0배에서 3.6배 낮음.
- 텔레비전 광고에 비해 CO2 배출량이 7.1배에서 10.7배 낮음.
- 언론 광고에 비해 CO2 배출량이 10.1배에서 25.0배 낮음.
- 메일링 광고에 비해 CO2 배출량이 57.0배에서 65.0배 낮음.
UPE는 2021년 3월에 친환경 시대를 반영한 옥외 광고 산업의 친 환경 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2021년 8월에 발효된 '기후 및 저항력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해당협회의 정책 이행 약속은 2022년 6월에 프랑스 친환경부에 등재되었습니다. 따라서 수 년 동안 수치로써 구체화된 실외 광고의 CO2 배출량 감소를 고시하며, 2025년까지 20% 감소, 2030년까지 48% 감소, 그리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미루어보아도 옥외 광고는 기후 변화와 관련된 CO2 배출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협회는 환경 보전의 책임을 인식하고, 옥외 광고 업계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이러한 탄소 배출량 감소 로드맵을 제시하였습니다. 2025년까지 20%의 CO2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외 광고 업체들은 다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첫째, 생산과 설치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는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재료 선택에 있어서 환경 친화적인 선택을 해야 합니다.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거나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채택하여 폐기물 양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셋째, 광고 캠페인의 지속 가능성을 강조하고, 환경 친화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광고 캠페인을 더욱 증가시켜야 합니다.
2030년까지 48%의 CO2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이고 공동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UPE는 실외 광고 업계와 협력하여 새로운 기술과 혁신을 도입하고, 최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야합니다. 이처럼, 해당협회는 프랑스의 기후 및 환경 관련 법률에 대한 적극적인 준수를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해당 협회는 자발적으로 옥외 광고와 관련된 중앙정부와의 기후 계약 조건을 작성하고, ARCOM과 CGDD와의 협력을 강화하였습니다.
옥외 광고의 탄소 배출량과 다른 매체 간의 해당 비교 분석은 KPMG 리서치 기관의 광고분야의 에너지, 경제 및 사회적 성과에 대한 비교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본 연구는 프랑스 옥외광고협회에 의해 2023년 3월 8일에 공개되었습니다.
2022년 6월에 제출된 기후 계약은 UPE의 환경 전환에 대한 목표와 조치를 좀 더 구체화 하게 됩니다.

옥외 광고 산업은 프랑스의 총 에너지 소비량의 0.01%만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인터넷 광고보다 6배, 텔레비전 광고보다는 17배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옥외 광고의 탄소 배출량은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옥외 광고가 에너지 효율적이며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KPMG가 수행한 두 차례의 연구는 옥외 광고 매체가 광고주가 에너지 절약과 광고행위의 탄소 배출량 감소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는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규제가 지나치게 옥외 광고에 가해지면 통신 투자의 이동으로 인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더 많은 양의 탄소를 배출하는 매체로의 이동이 발생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번역주 : 현재 프랑스 옥외광고 협회의 우려는 중앙정부의 과도한 시장 규제임. 이를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당 연구자료를 ADEME을 통하여 국회에 제출하여 해당 시장의 규제를 완화를 유도하려는 목표를 삼고 있음.)
2023년 4월 프랑스 옥외광고 협회는 프랑스 영상디지털소통규제청 (Autorité de régulation de la communication audiovisuelle et numérique, ADEME) 에 해당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최종적으로 기후 계약관련 이행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첨부서류입니다.